권리옹호
우리는 아동과 가족, 지역사회와 함께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정책을 개선합니다.
아동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정책을 개선합니다.
아동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균형 있게 발달할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촉구합니다.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실질적인 정책 변화를 촉구합니다.
아동이 행복한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을 국내 17개 시도 및 국제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정책의 변화를 촉구합니다.
장애아동,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아동 권리 등 부가 연구를 통해 아동의 삶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대응합니다.
장애아동,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아동 권리 등 부가 연구를 통해 아동의 삶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대응합니다.
우리는 다른나라 아이들보다 ( ) 하다!
연도별 주요 활동
2023
디지털 환경과 아동 삶의 질 국제심포지엄
2022
안전거리 2m, 아이들을 지켰는가? - 코로나19와 아동 삶의 질 국제포럼
2021
포용적 아동 삶의 질 : 국제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현황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지난 10년의 성과와 향후 10년의 과제
2020
권리로서의 아동의 삶의 질 : 지역과 장애의 격차를 넘어
2019
다양한 아동의 삶의 질: 문화, 국가, 가족 맥락에서의 접근
2018
다양한 가족 형태에 따른 아동의 행복과 사회적 지원의 중요성
2017
16개국 초등학교 3학년의 행복감 국제비교
2015
15개국 및 아시아지역 아동의 행복감 비교
2013
국내 16개 시·도 및 국가 간 아동행복종합지수 비교
주요 성과
01
국내 최초의 아동의 주관적 평가 반영 삶의 질 지표 통계 구축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와 함께 2012년 국내 처음으로 시작한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종합지수 개발과 조사는 아동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의 증진에 기여
종합지수 개발과 조사는 아동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의 증진에 기여
02
10년 이상 한국 아동 삶의 질 추이 분석
10년 이상 지속적인 연구와 한국 아동의 삶의 질을 논의하는 자리 마련, 한국 아동의 삶의 질과 행복 수준이 점진적으로 개선되는데 기여
권리옹호 관련 활동이 궁금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