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따뜻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 “나홀로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과제” 포럼 현장기
사진/ 지난 달 27일 서울 중구 수하동의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세이브더칠드런은 “나홀로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포럼을 열었습니다. 지역사회 나홀로 아동을 지원해온
세이브더칠드런의 CTF 사업을 평가하고 지역사회 내 돌봄 체계에 대한 정부와 학계,현장의
의견을 들어보는 이 자리에는 120여 명이 참석해 ‘나홀로 아동’ 보호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우선 기조강연에 나선 이봉주 교수(서울대 사회복지학과)는 “아동을 혼자 내버려두지 않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몸과 마음, 지적 수준까지 모두 고르게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이를 바탕으로 방과 후 방치 아동에 대한 포괄적인 프로그램 도입 및 학습 지도와 사회성 증진 등 지역아동센터의 역할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김선숙 교수(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가 CTF 사업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전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이러한 말은 그 동안 간과되어 온 지역아동센터 역량 강화에 대한 현장의 깊은 갈증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이번 포럼에 참석한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김옥수 사무관도 이러한 의견에 인식을 같이하며 “내년도에 나홀로 아동 보호 정책의 기본 바탕이 될 통계 자료를 구축할 예정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나아가 “사람 중심의 지원을 통해 지역사회와 부모의 관심을 이끌어야 한다”면서 “지역아동센터와 같은 지역사회 기관이 아동 개개인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을 논의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 책임교육과의 남미숙 장학관 역시 “가정과 학교뿐 아니라 마을에서도 아동을 돌보아야 한다는 데 크게 공감한다”라면서 “학교와 지역사회 기관이 연계하여 나홀로 아동을 보호함으로써 아동이 위기에 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라며 지역사회의 아동 돌봄 서비스에 큰 기대를 나타냈습니다.
사진/ 지난 9월 27일에 열린 “나홀로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의 역할과 과제” 포럼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나홀로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 정부, 지역사회 기관이 연계하는 포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왼쪽부터 토론에 참석한 세이브더칠드런 전혜숙 팀장
(아동지원사업팀), 유민상 연구원(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김선숙 교수(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오승환 교수(울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정소희 교수(대구대학교 산업복지학과),김옥수
사무관(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남미숙 장학관(서울시교육청 책임교육과), 유혜영 시설장(전북새움
지역아동센터).
세이브더칠드런의 Change The Future는
국내 아동이 신체적 ·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지역아동센터를 통해 영양 및 교육, 신체활동, 심리정서, 문화체험, 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는 통합지원프로그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