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동식사지원 캠페인

아이를 채우는 한끼

아픈 엄마와 열두 살 연아의 끼니 이야기

아동에게 식사 선물하기

“제가 갑자기 숨이 안 쉬어져서 얼굴이 새파래지니까, 연아가 급하게 119를 불러줘서 제가 먼저 병원에 실려갔어요. 근데 며칠 뒤 연아도 급하게 실려와서 수혈을 받더라고요. 의사가 영양실조라고 하는데 마음이 너무 아팠죠….”

열아홉에 남편 없이 홀로 연아를 낳고 스물하나에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은 엄마(31). 현재 말기 단계인 엄마는 일주일에 3번씩 투석을 받으며 힘겹게 고통을 견디고 있습니다. *만성신부전: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으로 말기가 되면 호흡 곤란, 구역 및 구토 등의 증상이 심해져 혈액투석, 복막투석 혹은 신장 이식을 지속적으로 받지 않으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평상시에는 괜찮은데, 엄마가 입원하면 불안해요….” 태어날 때부터 몸이 약했던 연아(12세·가명). 말하는 것도, 걷는 것도, 모든 것이 또래보다 느렸던 연아는 엄마의 잦은 입원으로 끼니를 잘 챙기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네 살 때부터 ‘엄마가 숨을 안 쉬면 빨리 119에 전화해야 한다’고 교육받았던 연아는 자신의 배고픔보다 언제 아플지 모르는 엄마가 더 걱정입니다. “아이한테 그런 교육을 시킬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너무 마음이 아파요….”

“엄마가 아픈 것까지 아이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은데 제일 바라는 건 연아가 안 굶었으면 좋겠는 거예요….” 언제 입원하게 될지 모르는 엄마의 가장 큰 걱정은 자신의 빈자리로 인해 발생하게 될 연아의 배고픔입니다.

연아에게 식사 선물하기

2020년 보건복지부 조사 결과 18세 미만 아동 중 급식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 아동은 약 51만명 *급식 지원 : 경제적 어려움, 보호자의 부재 등 여러 사유로 인해 끼니를 거르거나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식사 또는 관련 식품을 지원하는 행위. 학교에서는 급식을 먹을 수 있어서 식사 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만, 학교 밖에서는 여전히 영양가 있는 한끼 식사를 섭취하기 어려운 아이들이 많습니다.

고학년이 되고 친구가 늘어나면서 갖고 싶은 옷, 신발도 많아졌겠지만, 뭐 사줄까 물어보면 연아는 늘, “괜찮아, 그거 비싸잖아….” 한 푼, 두 푼 아낀 돈으로 좋아하는 돈가스나 스파게티를 사주려 해도 늘, “괜찮아, 그거 비싸잖아….”

“우리 연아는 웃을 때 제일 예뻐요. 정말 티 없이 해맑게 웃거든요. 근데 그 웃음을 보면 제가 이상하게 마음이 아파요….” 어린 나이에 혼자 힘들게 연아를 낳았지만, 한 번도 자신의 선택을 후회해본 적이 없다는 엄마. 엄마가 언제 곁을 떠날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이지만, 온 힘을 다해 엄마를 돌보고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연아.

아이들에게 도시락 후원하기. 연아와 같이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아이들에게, 여러분의 손으로 따뜻한 도시락을 보내주시겠어요? 아이들에게 선물하고 싶은 도시락의 개수를 선택하셔서 정기후원을 해주시면, 전국 저소득가정 아이들에게 도시락과 반찬이 배달되며, 추가적으로 아이들에게 식료품, 옷,학용품 등의 생계비가 지원됩니다.

도시락 패키지 00

식사지원사업 1차 후기

지난 2021년 세이브더칠드런은 끼니를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전국 저소득 915가구 아동을 대상으로 식사지원사업을 진행했으며, 2022년에도 501가구 아동에게 식사를 배달하고 있습니다.

키도 몸무게도 쑥쑥

장애가 있는 엄마. 집안의 기둥이었던 아버지마저 뇌졸중으로 쓰러지자 래정이네(가명, 14세) 가정은 흔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집안사정이 어려워진데다가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래정이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인스턴트 뿐. 하지만 세이브더칠드런의 지원으로 뚜껑만 열면 맛있는 반찬을 먹을 수 있게 되었고, 덕분에 래정이는 몇 달 전에 비해 몸무게도 많이 늘어나고 키도 크는 등 건강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배고프다는 말을 안해요

할머니와 함께 사는 준서(가명, 9세)는 발달장애가 있습니다. 할머니는 준서에게 맛있는 음식을 주고 싶지만, 고령의 나이에 준서 입맛에 맞는 음식을 준비하기조차 쉽지 않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에서 반찬이 지원된 이후, 준서는 더이상 ‘배고파’ 라는 말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매일 먹는 나물 반찬이 아닌 고기, 비빔밥 등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고, 할머니도 준서와 함께 밀키트를 조리하면서 대화하는 시간이 늘었다고 좋아하셨습니다.

도시락이 있어서 마음 놓여요

지수(가명, 11세)엄마는 최근 이전 직장에서 다시 출근하라는 이야기를 듣고 누구보다 기뻤습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저녁에 출근하여 새벽에 퇴근하기 때문에 아직 어린 자녀들의 끼니 챙기기가 가장 마음에 걸렸는데요. 세이브더칠드런이 제공한 각종 도시락과 밀키트로 간편하게 요리할 수 있고, 건강한 음식을 챙겨줄 수 있어 마음이 놓인다며 고맙다는 인사를 건넸습니다.

캠페인공유하기

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